반응형

nginx 3

Linux(Ubuntu) React Web Service 시작하기(서버 설정, Node.js, React, Linux, Nginx, SSL, FTP, 방화벽 설정)

Linux(Ubuntu) React Web Service 시작하기(서버 설정, Node.js, React, Linux, Nginx, SSL, FTP, 방화벽 설정)이번에는 Linux(Ubuntu)를 이용하여 React Web Service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저번에 포스팅 했던 도메인 연결 및 SSL 설치방법에 대한 내용을 참고 해 주시면 더욱 쉽습니다! ※ 참고 포스팅 ※React 도메인 연결https://dalbyutility.tistory.com/50  WAS까" data-og-host="dalbyutility.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dalbyutility.tistory.com/50" data-og-url="https://..

Back-End/Linux 2024.05.29

유료 SSL 인증서 신규 설치, 유료 도메인 네임, 웹 서버 Nginx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HTTPS 적용하기(React, SSL, HTTPS, Web Server, Nginx) for window

유료 SSL 인증서, 유료 도메인, 웹 서버 Nginx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HTTPS 적용하기 (React, SSL, HTTPS, Web Server, Nginx) for window이번에는 저렴한 유료 SSL를 구매하여 DV 단일 도메인 인증서(SSL)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도메인의 경우 호스팅 KR 페이지를 이용하여 구매하였습니다. DNS 레코드 관리에서 DNS 레코드 A 유형으로 서비스할 공인 IP를 추가 해 줍니다. 여기서 A 유형의 레코드는 도메인의 IPv4 주소를 갖고 있는 레코드 입니다. AAAA 레코드는 IPv6주소를 포함하는 레코드 입니다.@의 경우 root 도메인 레코드 입니다. domain.com, 또 다른 도메인 레코드 www.domain.com 입니다. 해당 ..

Infra/Server 2024.05.28

Java, Spring Boot, React 서버 생성 후 도메인 네임 연결 방법 (웹 서비스, war, 외장 톰캣, node.js, nginx, IpTime Port forwarding, 방화벽 설정) for window

spring boot, react 서버 생성 후 도메인 네임 연결 방법 (웹 서비스, war, 외장 톰캣, node.js, nginx, iptime, port 포워딩, 방화벽 설정) for window이번에는 도메인네임(Domain name) 접속을 통하여 WebServer -> WAS까지 전반적인 web service의 인프라 구축에 대해 포스팅 해보았습니다. (초간단 주의) 먼저 도메인네임의 경우 무료로 iptime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직접 호스팅 업체의 도메인을 구매하여 발급 받은 후 연결하였습니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프로젝트:Spring Boot - API (API를 호출하여 동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젝트)React - Front (실제 웹사이트 화면 프로젝트)..

Infra/Server 2024.05.15
반응형